임승식 도의원(정읍1) 시군별 전략적 특화작목 육성 필요

2025-07-01     변재윤 대표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 농업 경쟁력 회복과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시군별로 전략적 특화작목을 발굴·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임승식 의원(정읍1)이 최근 제41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도정질의에서 이와 같이 주장했다.

임 의원은 전북자치도는 오랜 기간 대한민국 곡창지대로 불리며 식량작물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의 생산량을 자랑해왔으나 고부가가치 작목 분야에서는 여전히 낙후되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결과를 언급하며 전북의 농가소득은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며 농업소득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다며 전북 농정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이에 임 의원은 농가소득을 실질적으로 높이고 전북 농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도내 14개 시군별로 특화작목을 전략적으로 발굴·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임 의원은 전북자치도가 지난 5년간 추진해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사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전북자치도는 국비 지원 작목으로 수박, 천마, 파프리카, 치유곤충 등 4개 작목에 163억 원, 도비 사업으로 산채, 블루베리, 허브 등 6개 작목에 32억원을 투입했지만 이러한 투자가 실제 농가의 소득 증대로 얼마나 연결되었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임 의원은 지역 맞춤형 특화작목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시군 협의체가 주도적으로 작목을 선정하고 시군과 공동으로 연구·육성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특화작목 육성을 기술 개발에만 국한하지 말고 유통·판매·가공·수출 등 전후방 산업과 연계한 통합적 전략으로 전환해야 하며 농가 중심의 성과 피드백 및 공유 체계를 강화해 연구 성과가 제대로 안착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점검·보완하는 시스템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승식 의원지금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점이다. 각 시군의 지리적·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특화작목을 전략적으로 육성해야만 농가소득 증대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이 가능하다고 강조하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실행력 있는 농정으로 전북 농업이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전북자치도의 강력한 의지를 촉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