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전염병 및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건립, 장기기증 활성화, 국산 밀 지원 대책” 집중 공세
전라북도의회 고영규 의원 (정읍시 제 1선거구/ 환경복지위원회)
전라북도의회가 지난 8일부터 17일까지 제278회 임시회를 개회한 가운데 환경복지위원회소속 고영규 의원(정읍시 제 1선거구)이 김완주 전북도지사와 김승환 도교육감을 대상으로 도정질의를 이뤘다.
지난 10일(목) 오전 고영규 의원(정읍1)은 먼저 김완주 도지사에게 가축전염병 대책 및 인수공통전염병 연구소 건립을 비롯 장기기증 활성화 대책, 국산 밀 지원 대책을 집중 공세를 폈다.
이어 전라북도교육청 김승환 교육감을 상대로 교복 물려주기 활성화 대책이 있는지 도정질문을 이뤘다.
질의에서 고영규 의원은 먼저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가축전염병과 관련해 좀 더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통해 피해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방역에 있어 상시적인 방역 대책과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확대 지원 및 적정 사육밀도 유지로 사육환경 개선, ▲안정적인 사료공급 선행을 건의했다.
이어 고영규 의원은 김 지사에게 “가축전염병과 관련하여 본 의원이 제시한 사안들에 대한 견해와 관련 대책은 무엇인지, 도내에도 현재까지 가축을 살 처분한 매몰지역이 상당한 실정에서 해당 지역에 대한 수질 및 토양 오염에 대한 관리를 어떻게 수행하고 계신지와 향후 어떻게 관리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답변하라”고 질문공세를 폈다.
또 “현재 144억에 달하는 사업비의 미확보로 건립이 지연될 여지가 있는 상황에서 정부 추경 등을 통한 예산반영을 요구하여 조속히 건립이 되어야 한다고 보는데 조속한 추진을 위한 대책은 무엇인가”라고 답변을 주문했다.
고영규 의원은 더불어 “장기기증은 생명나눔운동으로 자신의 신체를 기증함으로 인해 사랑이 메마른 각박한 세상에 사랑의 귀중함을 알려주는 소중한 메시지로 과거의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최근 가장 아름다운 나눔이자 참 사랑의 실천인 장기기증이 증가하고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나 장기기증 등록기관별 장기기증 희망등록자 현황을 보면 매년 사랑의장기기증전북지역본부와 전북서부본부의 실적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나머지 기관들은 별다른 실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고 의원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 등을 총칭한 공공의료기관의 실적이 매년 증가하고는 있지만 도내 212개의 장기기증 안내 및 접수창구 중 보건의료기관의 장기기증 창구가 200개나 되는 상황에서 장기기증과 관련해 공공 보건의료기관의 기능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고 의원은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의료원 등의 공공의료기관을 통한 장기기증 활성화 대책을 강구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지사의 답변을 유도했다.
그리고 고영규 의원은 국산 밀 육성과 관련, 밀 재배 한계지역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전북의 평야지대에서도 밀 재배가 가능한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도내 국산 밀 생산량이 매년 급증해 2007년 1,674톤, 2008년 2,791톤, 2009년 5,725톤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자료를 공개했다.
하지만 “2012년 보리수매 폐지 등으로 밀재배에 많은 지자체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어 자칫 과열조짐이 발생 할 수 있고 아직까지는 고품질 다수확 품종개발과 재배기술이 미흡한 게 사실”이라면서 “대부분 영농조합법인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단순 집단재배 형태를 띠고 있어 생산자들의 조직화가 미흡하고 조직화 규모화 되지 않은 생산구조와 미흡한 유통체계가 개선되어야 하며 저장.가공 시설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고 의원은 “이처럼 국산 밀에 대한 수요의 증대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산 밀에 대한 장기적인 지원계획 수립 및 우리 밀 소비촉진을 위한 다양한 시책이 마련돼 있는가”라고 몰아세웠다.
고 의원은 또한 김승환 교육감을 상대로 교육학예 문제를 들고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교복 물려주기 운동이 2010년 기준으로 교복을 착용하는 중.고등학교 300개교 중 78개교가 약 26%만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 의원은 울산시 교육청의 물려줄 교복의 세탁비 지원 사례를 들며 “교복 물려주기 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도교육청에서도 지원 대책 및 본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은 있는가”라고 답변을 유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