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기념일 제정 또 ‘좌초’ 위기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추진하고 있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이 동학관련 단체 및 각 지역간 갈등으로 또다시 좌초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04년 특별법 제정이후 10여 년간 끌어왔던 국가기념일 제정을 동학농민혁명기념 재단 측이 여론조사를 통해 결정키로 했으나, 사실상 중단돼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요구가 일고 있다.
재단 측은 16일경 문체부와 여론조사 설명회에서 건의된 내용에 대한 검토 및 조사 방향 결정 등을 두고 의견 조율과 방안을 모색해 기념일 제정 방침을 세울 예정으로 알려져 있어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지난 11일 오후 2시 재단이사장실에서 김영석 재단이사장과 이용이 사무처장, 김대곤 위원(원광대 부총장), 이기곤 전국 동학농민혁명유족회 사무총장 등 모두 8명의 위원이 참여한 가운데 국가기념일 제정 등을 위한 제 4차 운영위원회를 개최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운영위원회는 국가 기념일 제정을 국민 여론조사 방법으로 추진하려던 계획을 각 지역 기념사업단체들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해 기 세워졌던 여론조사 일정을 잠정 중단키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기념일 제정을 위해 정읍과 고창 등 기념사업단체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지역기념사업 단체들이 반대하지 않는 날짜를 도출해보는 방안과 유족회가 주관이 되어 국가 기념일을 제정하는 방법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여론조사는 6월28일~7월10일 사이 실시해 이틀 후인 7월12일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 기념일 제정 사업을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었고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와 동학농민혁명 유족 1만명 가운데 각각 유효표본 1000명씩을 추출해 50%씩 반영, 합산하는 방식으로 제단측이 방침을 정했었다.
하지만 지난 6월21일 전국 동학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국가 기념일을 여론조사로 결정하는 것은 문제가 많아 여론조사 중단을 요구한다”며 문체부의 대책강구 요구와 함께 전북도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력히 반발했다.
재단의 일정 중단에 따라 지난 5월부터 추진했던 국가 기념일 여론조사 방법은 사실상 백지화된 것으로 알려져 올 연말까지 제정키로 했던 국가 기념일 제정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