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천규 의원 “황토현전승일 국가기념일로 제정하라” 강력 촉구

제178회 정읍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결의안 채택

2012-09-05     정읍시사

정읍시의회 우천규 의원이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8월30일 오전 10시 제178회 정읍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우천규 의원은 제안 설명 나서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에 필요한 기준과 원칙을 정하도록 하고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대승을 거둬 혁명의 전국화를 이끈 황토현전승일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로 제정하라”고 강력히 결의했다.

그는 “정읍은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최초의 봉기부터 끝맺음에 이르기까지 역사 발전의 몸통이 되었던 자랑스런 고장이고 명실 공히 자타가 공인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민권 운동의 요람지이자 민주 발전의 성지”라고 정당성을 부여했다.

우 의원은 “8년 전인 2004년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에 관한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공포된 이래 동학농민혁명을 널리 선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하나로 국가기념일 제정이 추진되었다”고 그간의 과정을 되돌아 봤다.

하지만 “동학농민 혁명의 전국화와 세계화를 지향하는 기념일 제정 논의와 추진이 특정단체와 이에 동조하는 몇몇 연구자들의 잘못된 역사 인식으로 인해 시작부터 불공정과 편향적 형태를 보이더니 오늘날에는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등 기념일 제정을 염원하는 많은 분들에게 실망을 넘어 절망감을 안겨주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우 의원은 이어 “이들은 학문적 검증조차 미흡한 특정일(무장봉기)을 기념일로 제정하기 위하여 1894년 당시 뿐 아니라 다수의 국민이 동학농민혁명의 시작으로 알고 있는 고부봉기를 ‘고부민란’이라 폄하시키고 특정일을 최초 봉기로 탈바꿈시키는 역사 왜곡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질타했다.

특히 최근에는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을 총괄하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재단에서 추진하고자 한 여론조사방식에 의한 기념일 제정을 반대하면서 비이성적인 방법을 동원하고 있어 자칫 국민에게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반감과 외면을 받을 위기에 처해졌다고 성토했다.

이에 따라 “정읍시의회는 기념일 제정 추진과정에 있어서 옳고 그름을 떠나 스스로를 자성하며 동학농민혁명은 일부 지역의 전유물이 아니라 세계의 민중혁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막중한 역사적 기념일임을 상기하고자 한다”고 개념에 접근했다.

더불어 1894년 반봉건.반침략을 위해 기꺼이 희생하신 선열들께 부끄럽지 않은 후예가 될 것이며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기꺼이 매진하고자 한다”며 “정읍이 동학농민혁명사에 있어서 발상지이자 성지라는 점은 국민 다수가 인지하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역설했다.

우천규 의원은 또 정읍이 ‘사발통문 거사계획’이 수립된 곳이자 혁명의 시작을 알린 고부봉기가 일어난 곳이며 관군과의 첫 번째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서 혁명의 전국화를 가능케 한 황토현전승지 등 역사성과 상징성.대중성.현실성을 두루 갖춘 곳임을 강조했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기념 조형물인 ‘갑오동학혁명기념탑’을 1963년 황토현전승지에 건립했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혁명에 참여한 분들의 위패를 모신 구민사가 조성되어 있으며 국가에서 사무를 위임받은 기념재단에서는 국비로 건립된 동학 농민혁명기념관에 상주하며 운영하고 있는 점, 1968년부터 현재까지 황토현전승일에 맞추어 동학농민혁명기념제를 개최해 오고 있는 점 등을 꼽았다.

따라서 우 의원은 “이러한 정읍의 의의와 황토현전승일을 제쳐두고 특정일을 기념일로 제정한다고 한다면 동학농민혁명의 역사를 왜곡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라며 “이에 우리 정읍시의회 의원 일동은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표방했다.

한편 정읍시의회는 우천규 의원은 제안에 따라 ‘첫째. 정부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 제정에 필요한 기준과 원칙을 정해 국가기념일을 제정해야 한다’며 ‘둘째. 동학농민군이 최초로 대승을 거둬 혁명의 전국화를 이끈 황토현전승일 양력 5월 11일(음 4.7)을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로 제정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본 결의문은 본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을 비롯 국무총리, 국회의장, 기획재정부장관, 법무부장관, 교육과학기술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국가보훈처장, 새누리당 대표, 민주통합당 대표, 통합진보당 대표, 선진통일당 대표, 유성엽 국회의원, 전라북도지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에 수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