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만 말고 인구 늘릴 아이템을 줘!”
정읍시 인구늘리기 1인 1시책 시책발굴 나서
2006-08-21 변재윤
지난해 말 13만 인구 붕괴를 맞은 정읍시가 최근 인구 증대를 위한 시책 발굴에 묘안을 짜고 있다.
먼저 시는 지난 14일(월)부터 이달 말까지 전 실과소 및 읍면동 직원들을 대상으로 해당업무 분야별로 인구증대를 위한 1시책 사업을 발굴토록 지침을 시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3년만 해도 15만5천명을 웃돌았던 정읍시는 2004년 13만2천여명, 2005년 12만9천여명에 이어 2006년 7월말 현재 12만7천3백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이는 하루 평균 8.8명이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도표>
이러한 인구 감소 요인으로 시는 우선 사망자가 1일평균 3.4명 및 관외전출자는 16.6명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출생자는 2.7명, 관외전입자 8.5명으로 증가요인보다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했다.
이 같이 정읍시의 인구감소로 인해 가장 먼저 변화를 맞은 건 무엇보다 행정조직의 직급하향이 7월1일부로 이뤄진 것.
지난 4월 시는 행자부와 전북도로부터 ‘인구감소에 따른 기구감축 및 부단체장 직급 하향조정 지침’을 받아 이제까지 지방부이사관(3급)이었던 정읍부시장직이 지방서기관(4급)으로 하향 조정되었으며 이사관급이었던 시장직급도 부이사관급(3급)으로 연봉 또한 하향 조정됐다.
따라서 시는 인구증대를 위한 핵심과제를 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을 꼽고 있으며 출산장려 및 보육 시책, 우수교육 기반 확충, 노인복지, 귀농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 운영 등을 선정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시책 우수 추진부서에 대해서는 올해 말 종무식장에서 성과상여 가점부여 및 시상까지 이룰 계획이고 다만, 기존방식과 같이 주소만 이전하는 인위적 인구증대책은 지양한다는 방침이다.
총무과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인구증대 방안으로 단.중.장기적 단계별로 시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관리하는 한편 시민공감대 형성을 위한 범시민 추진협의체도 구성 운영할 생각이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인구 감소요인으로 교육.문화 기반시설이 열악하여 여건이 나은 인근 대도시로 이주하거나 기업체 대도시 집중화로 일자리를 찾아 이주하는 유형, 가임여성 감소와 출산율 저하로 신생아 출생 저조, 초고령 사회진입에 따른 출생률 대비 노인 사망률 증가를 들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