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방문자수 : 0명
UPDATED. 2025-07-01 14:42 (화)
정읍 김승범 “운암수력발전소, 역사자산 활용방안 마련 필요”
상태바
정읍 김승범 “운암수력발전소, 역사자산 활용방안 마련 필요”
  • 변재윤 대표기자
  • 승인 2022.03.04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읍시의회 제271회 임시회 첫날인 222일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김승범 의원이 남한 최초 유역변경식 수력발전소에 대한 역사자산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를 통해 운암수력발전소를 정읍시의 중요한 역사자산으로 삼아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체계적인 조사와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김승범 의원은 이날 산외면 종산리에 위치한 운암수력발전소를 정읍의 중요한 ·현대 역사자원으로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체계적인 조사와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주장했다.

운암수력발전소는 일제강점기 192912월 남조선 전기주식회사에서 착공해 193110월 시설용량 5,120로 준공된 남한 최초 지역의 유역변경식 발전소이다.

발전소가 위치해 있던 산외면 종산리는 한국전쟁 시 호남 지역의 전기 생산을 책임지는 전략적 요충지로써 19507월 북한군에 점령됐다가 19512월 탈환했는데 북한군이 후퇴할 때 중요한 기기의 대부분을 파괴·방화해 발전기능이 완전히 상실되고 말았다.

이후 195151차 공사로 제2호기의 복구를 시작했으나 공비들의 출몰이 심해 일면공사, 일면방비라는 각고의 노력 끝에 19523월에서야 다시금 가동할 수 있었다.

이처럼 운암발전소는 가동을 시작한 1931년부터 19852월 설비의 노후화로 폐쇄되기 전까지 50여 년 동안 총 54,200의 전력을 생산해 호남 지역의 경제발전 및 식량 자급의 기틀과 전기 공급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섬진강과 동진강 유역 발전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던 근대 수자원 개발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시설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김승범 의원은 “19852월 그 역할을 섬진강발전소에, 지금의 칠보발전소에 넘기고 50여 년 만에 폐쇄됐으며 이후 발전소 시설은 민간에 매각돼 한 종교단체가 수양시설로 사용하기 위해 내부 공사를 진행했다면서 이 공사로 인해 옛 유역변경식 수력발전소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됐고 또 종교단체의 내부 보수작업 공사도 중단돼 운암발전소는 오랫동안 사람의 출입이 없는 빈 건물로 남게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김 의원은 지금부터라도 역사자산 보존을 위해 운암발전소 건물과 도수터널의 출구를 전기산업 또는 발전사업유적 테마박물관으로 복구하거나 김제 광활면 및 부안 계화도 간척지와 연계시켜 문화관광 자원으로 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