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민 동의 조작하고 밀실 허가, 꼼수 추진하는 G사 바이오 쓰레기고형연료(SRF) 발전시설 허가과정 철저하게 조사하고 전면 백지화로 쾌적하게 살아갈 수 있는 시민의 환경권리를 보장하라!”
'화력발전소 결사반대 정읍시민 총궐기대회’가 4월 28(월) 오후 2시 정읍시청 앞에서 정읍시화력발전소반대대책위(우용태 위원장)와 전북환경운동연합(이정현 공동대표)가 정읍시농민회, 지역 주민과 주민협의체, 임승식 도의원, 정상철 시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먼저 참석자들은 “기업의 이윤 추구라는 사익이 공공의 안전과 산단관리 시책에 우선할 수 없다는 점에서 쓰레기 고형연료 화력발전소 설치를 반대하는 정읍시민 대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취지를 밝혔다.
이러면서 “가연성 목질계 쓰레기 고형연료(바이오 SRF)를 소각해서 주변 공장에 열원(스팀)을 공급하고 21.9MW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정읍시 영파동 정읍 제1 일반산업단지에 화력발전 시설을 짓기 위한 행정적인 절차를 마무리 하고 정읍시에 착공 허가를 받기 위한 부지 정비작업 중에 있다”고 현재 상황을 설명했다.
이러면서 “일반적으로 SRF 소각발전시설의 대기오염물질 확산 범위는 4~6km에 이른다. 많게는 10km까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전문가 인터뷰도 있다. 직접 영향권 내에 있는 농소동과 덕천면 주민, 피해 범위 내에 있는 수성동 주민들은 정읍천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반대 서명을 받았다”고 반대의 당위성을 제기했다.
결의에서 이들은 “초미세먼지 등 발암성 물질과 독성 대기오염물질이 함유된 가스상 물질이 시민과 아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 고형연로 소각발전시설 인허가 과정에서 주민 동의를 조작하고 실체도 없는 단체와 협약을 근거로 산단 실시계획변경(업종 변경)을 하고 입주 계약을 체결한 절차상 위법이 있다”고 문제를 제기하며 불허 처분을 촉구했다.
“정읍시가 책임지고 시민의 동의없는 화력발전소 허가를 취소해야 한다”고 정읍시를 향해 강력한 주장을 펼쳤다.
집회에서 설치반대에 동참한 임승식 도의원은 “국가 공기업이 사업의 주체라면 사업추진의 적법성과 공공성·투명성 확보는 당연지사임에도 다수의 정읍시민은 화력발전소 건립 소식을 공사가 시작된 이후에야 알았다”고 지적, 반대입장을 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