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방문자수 : 0명
UPDATED. 2025-05-21 23:36 (수)
원/ 예/ 상/ 식/.............이주연
상태바
원/ 예/ 상/ 식/.............이주연
  • 정읍시사
  • 승인 2006.01.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국(Hydrangea macrophylla Ser.)
가. 생리생태 및 환경조건

자연상태나 온실에서의 수국은 주로 삽목에 의해서 번식이 되므로 여름철 에 차광조건에서 영양생장이 이루어진다. 수국 생산에 있어 영양생장기간 동 안에는 삽수의 활착, 촉성 등에 의한 꽃받침 색의 결정, 개화지 유도를 위한 분지의 유도, 초세의 조절과 함께 마디를 짧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 하다.

삽목후 활착까지는 야온이 21℃이상 되어야 하며, 주간에는 26℃ 이하가 유지되어야 한다. 삽목번식시 습도는 65~85%가 유지되어야 한다. 수국은 그 생육에 있어 일반적으로 장일조건에서는 영양생장이 촉진되고 일조건에서는 꽃눈분화가 촉진된다. 일장과 더불어 온도 또한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예를 들면 고야온(21℃이상)에서는 일장이 증가됨에 따라 꽃눈분화가 더디게된다.

반면 고야온 조건에서도 단일 상태에서는 꽃눈분화가 유도된다. 또한 단일 조건 일지라도 야온 11℃이하에서는 꽃눈분화가 억제되고 급기야는 야온과 일장에 따른 식물의 반응은 표 29에서 보는 바와 같다. 여름철 영양생장이 끝나고 단일상태로 접어들면 꽃눈분화가 유도된다. 적절한 꽃눈 유기를 위해 서는 야온이 11℃~18℃가 되어야 한다.

수국은 상대적 단일식물이므로 8시간 일장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후 4시에서 오전 8시까지의 차광이 필요하 며, 이때 온도를 11~18℃로 유지하여 꽃눈분화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다.

꽃눈분화가 끝나고 개화를 위해서는 적온 저장으로 휴면을 타파시켜야 한다. 수국은 눈 휴면(bud dormancy)을 하므로 저온 처리에 앞서 적엽제로 잎을 제거시켜 주고 회색곰팡이로 인한 부패방지를 위해 베노밀(벤레이트) 또는 클로로탈로닐(타코닐) 살포후에 약 5℃에서 6~8주간 저온처리를 한다.

이때 상대습도는 20~60% 범위내 유지가 필요하다. 20℃미만에서는 눈이 말라 죽고, 60% 이상에서는 부패하기 쉬우므로 지나치게 건조하거나 과습한 환경에 접하지 않도록 적절한 습도 관리가 필요하다.

나. 재배기술

(1) 하계재배작형

5월초에 삽목하고, 꽃봉오리를 2개 이상 피우려면 6월말에 순을 지른뒤 꽃눈발달이 5~6단계 된 식물체를 10월말~11월초에 냉장을 시작한다. 5℃ 저장시에는 6주~8주간 처리하며, 11℃ 저장시에는 최소한 8주간 처리해야 한다.

출하시기를 맞추기 위한 장기 저장시에는 0~1.5℃에서 8주 이상 저장하는 것이 적합하다. 냉장직전에 잎을 따주어야 냉장효과가 있다. 냉장처리후에는 야온이 12℃되는 온실에서 재배하여 1월초에 뿌리내린 직후에 20cm정도의 화분에 심어 개화기까지 키운 후 4월초에 출하한다.

(2) 주년재배작형

미니포트 수국에만 해당되는 작형으로 알맞은 품종은 중소형의 ‘메리트 수프렘’과 ‘닥터 버나드 스테니거’이다. 일정한 일장(3,500Lux)하에서 경정 경지삽(shoot-tip cutting)으로 뿌리를 내린 묘를 11~12cm화분에 옮겨 심은 후 2주간 17℃와 일정한 일장(약 60,000Lux) 에서 생육 시킨다.

촉성 재배시 와 마찬가지로 잎을 제거하지 않고 자연조건하에서는 8시간 일장에 야간 11℃, 주간 17℃의 온실에서 6주간 처리로 개화를 유도한다. 주변온도가 높 을 경우에는 11℃의 저온저장으로 저온처리를 대체할 수 있다.

건전한 잎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2시간 명기를 유지해야 하는데 1,000Lux추가광을 쪼여 줌으로써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그 기간은 6주간 지속시켜야 한다.

(3) 식재 및 배양토

수국을 분에 심는 시기는 뿌리부위의 크기 및 발근 정도로 정해진다. 관행의 다른 삽목묘와 동일한 상태의 근부(根部) 형성기에 화분심기를 한다.

화분에 옮겨심은 삼목묘는 오후에 관수하고 다소 약광(40,000Lux)하에서 일정기간 재배함으로써 이식으로 인한 몸살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일주일 정도 지나서 회복시킨 후에 차광을 제거한다.

배양토의 선택을 수국 생산시 중요한 장업중의 하나이다. 동일용기 내에서 22주이상을 지속해야 하므로 배양토가 적절생육에 절대적인 요인이 된다. 수국은 다량의 수분이 요구되므로 수분보유 능력이 좋은 배양토가 선택되어 야 한다. 피트모스는 수분 흡착도가 높으므로 밭흙, 퍼라이트,버미큘라이트, 바아크 등의 재료와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분의 크기는 영양생장 기에는 10cm분이 수분관리에 용이하다.

(4) 시비 및 영양분

수국은 적정 생장과 화색조절에 따라 그 시비 및 영양분이 결정된다. 분홍 및 백색 수국재배에서 지속적 시비로서는 액비로 매 관수시에

○ 400ℓ당 25-10-10을 150~250g또는 400ℓ당 11-53-00(인산암모늄)30~60g+13-00-44(질산칼리) 30~60g+32-00-00(우란 32)86~170g을 시비하여 100~175ppm의 질소수준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7~10일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시비할때.

○ 25-10-10을 63~84g 또는 400ℓ당11-53-00(인산암모늄)90~120g+ 13-00-44 (질산칼리)113~150g+32-00-00 (우란 32)310~420g을 시비하여 340~450ppm의 질소수준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인산, 황산, 구연 산을 이용해서 pH6.3으로 조절하여 공급해야 한다. 즉 인산질의 적절 수준 유지로 분홍색을 띠게 한다.

청색 수국재배에도 지속적 시비로는 액비로 관수시에

○ 400ℓ20-5-30을 180~330g 또는 400ℓ당 11-53-00(인산 암모늄)15~29g +13-00- 44 (질산칼리)130~224g+32-00-00(우란32) 70~113g을 시비하여 100~175ppm의 질소수준을 유지해 준다.

간헐적 시비로는 7~10일 간격으로 시비할때

○400ℓ당 20~30을 530~625g 또는 400ℓ당 11-53-00(인산암모늄) 57~85g+13-00-44(질산칼리)425~565g+32-00-00(우란32) 210~275g을 시여하여 340~450ppm의 질소수준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황산, 구연산을 이용하여pH5.3으로 조절해서 공급하여 준다.

(5) 관 수

수국은 잎이 크므로 단시간 내의 수분손실이 많으므로 쉽게 시들어 버리기 때문에 많은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화분의 수분 포화량에 비해 10%의 수분을 더 공급해 주어야 한다. 한편 수분과다에 의한 피해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수분과다는 관수시 지나친 양의 수분공급보다는 빈번한 수분공급이 그 원인이 된다.

또한 수질이 중요하므로 pH나 전기 저항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pH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꽃색에 따라 조절되어야 하며, 전기 저항도는 1.75mmho/cm이하여야 한다.

(6) 순지르기

수국은 꽃봉오리를 몇 개로 만드느냐에 따라 다르다. 다화성 식물의 경우 1차 순지르기를 화분에 심은지 2~3주 후에 줄기당 두마디를 남기고 실시하며, 마지막 순지르기는 7월 5일 이전에 해야 한다. 이후 순지르기는 줄기의 생장증진에 효과가 없고, 꽃봉오리 크기가 작아지며 맹아되는 줄기가 많이 발생한다.

(7) 꽃눈유도

꽃눈유도를 위해서는 앞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일장 및 온도를 조절해주고, 더불어 질소 수준을 낮추어 주어야 한다. 9월에는 1/2수준으로 낮추고 10월에는 시비를 중단한다. 수국의 꽃눈발달은 7단계(stage)로 구분된다.

5~6단계에서 필요시 잎따주기를 해야 하며 7단계에서는 모든 화기 구조가 구분되어 완전한 꽃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개화유도에 있어 개화 조절방법 으로는 안시미돌, 패클로부트라졸, 유니코나졸등의 억제물질이 유용하게 이용된다. 수국의 출하후에도 적절한 수분관리가 생육 및 화색유지에 중요하다.

수국은 실내 15~18℃에서 가장 오래 유지되며, 직사광선 보다는 반사광 혹은 그늘진 상태에서의 관리가 그 수명을 연장시켜준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