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방문자수 : 0명
UPDATED. 2025-05-21 23:36 (수)
증권상식......윤찬식지점장
상태바
증권상식......윤찬식지점장
  • 정읍시사
  • 승인 2006.04.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 개의 주머니를 준비하라”
평생투자의 원칙은 간단하다. 길게 보고(장기투자) 나눠 투자하는(분산투자) 것이다.

그러나 평생투자를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생의 습관으로 굳히는 일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또 개인마다 나이와 자산규모, 돈이 필요한 시기 등이 모두 다르다.

선진국들이 어린이를 위한 전용펀드 상품을 내거나 학생, 직장인, 노년층을 위한 투자교육에 힘을 쏟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다.

평생투자를 위해선 우선 각자의 형편에 맞춰 설계도를 짜야 하는데 여기에도 큰 원칙이 있다. 일본 니코 애셋매너지먼트의 티모시 맥카시 최고경영자(CEO)는 " 금융자산을 불리려면 3개의 주머니를 준비하라" 고 권한다.

우선 6개월~1년 이내에 꼭 써야 할 돈은 예금, 머니마켓펀드 (MMF)등 원금 보전성이 높고 언제든지 쓸 수 있는 저축 주머니에 넣어야 한다. 여유가 된다면 주식 직접투자 등 각종 거래(트레이딩)를 위해 따로 주머니를 마련해도 된다. 단, 모두 날려도 타격이 없을 만큼 전체 금융자산에서 작은 비중을 둬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오랜 기간 돈을 불려가기 위한 자산형성 주머니다. 적어도 5년, 길게는 10년 이상에 걸쳐 운용하면서 장래 목돈이 필요할 때나 노후에 열어 쓰는 주머니다.
성격상 주식, 채권, 부동산 등 각종 자산에 간접 투자하는 펀드에 넣는 것이 최선이다.

펀드도 자신의 처지나 펀드의 특성에 맞춰 나눠 넣고 그 비율을 정기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같은 펀드라고 해도 주식형은 기대수익률이 높지만 위험성도 높다. 반면 채권형은 위험은 낮지만 기대수익도 낮다.

부동산, 선박 등 실물펀드는 대개 주식, 채권보다 급등락이 적고 예금보다 약간 높은 수익을 내지만 원금보전성은 예금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자기 나이나 형편에 맞게 주식형 . 채권형. 실물형 펀드 등 서로 위험-수익 특성이 다른 상품의 비중을 정해두고 정기적으로 이를 점검해야 한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