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종합촬영소는 내년부터 오는 2010년까지 정읍시 일원 50만평 규모에 700억원을 들여 촬영스튜디오와 영상관, 야외촬영장, 의상 소품실, 숙소 등을 지어 전북과 정읍을 국내 영상산업계의 강자로 만들려는 전라북도와 정읍시의 야심찬 프로젝트였다.
그런데 이 같은 계획에 대해 부산시가 지역 국회의원들의 도움을 받아 촬영소를 부산시에 유치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촬영소의 정읍 건립에 비상등이 켜지게 된 것이다.
이 같은 부산권의 움직임은 타당성 조사를 위해 문화관광부가 기획예산처에 청구한 ‘조사연구 용역비’가 정읍지역에만 국한된 용역비에서 최근 부산시까지 포함된 조사용역비로 범위가 확대되었고, 이런 사실 등이 ‘정읍지역 촬영소 불가’라는 위기감을 고조시키고 있는 것이다.
사실을 접한 전북도와 정읍시는 문광부에 ‘당초 계획 이행’을 촉구하며 여러 경로를 통해 문광부를 압박해 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전북도와 정읍시는 부산시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분석치와 논리를 통해 제2종합촬영소의 정읍 건립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미 영화진흥위 등 영산 관련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은 이런 전북도와 정읍시의 계획에 분명 악재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응논리 역시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영진위는 부산 이전이 확정된 이 후 제2종합촬영소의 부산 건립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제2종합촬영소 건립이 무산되면 전북도가 5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는 영상산업 육성도 차질을 빚게 될 것이 확실시 되는 관계로 강현욱 도지사 역시 ‘정읍 유치’에 최선을 다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정읍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