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1일… 전국 시.도 대표 21개팀 민속경연
문화관광부와 KBS, 전라북도, 정읍시가 공동 주최하고 2006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김선풍 중앙대 명예교수)가 주관하는 ‘제47회 한국민속예술축제’가 지난달 27일 오후7시 정읍종합경기장 특설무대 전야제공연을 시작으로 대단원의 막을 열었다.
올해 축제는 ‘정읍에서 어강됴리 세계속으로 다롱디리’를 주제어로 28일부터 10월1일까지 4일간 전국 16개 광역시도 및 이북 5도 대표 등 21개 참가팀 3,000여명이 출전해 민속경연을 펼쳤다.
27일 오후 7시30분 정읍체육공원 특설무대에서 열린 전야제에는 김선풍 추진위원장과 강 광 시장, 박진상 시의회의장을 비롯한 기관단체장, 행사관계자, 시민 등 6,000여명이 참석하는 성황 속에 진행됐다.
전주MBC 김연주.이진영 아나운서의 사회로 3시간동안 진행된 전야제에는 김태곤, 신효범, 조영남씨 등 인기가수를 비롯해 전통타악 ‘천지소리’, 코리안월드뮤직 ‘오감도’, 신국악단 ‘소리아’, 크로스오버그룹 ‘시아’등이 출연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무대로 꾸며져 시민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날 행사장을 찾은 시민과 외지관광객들은 전야제공연 관람과 더불어 행사장 전역에 조성된 전통문화예술 체험장과 전시장, 민속장터 등을 둘러보며 전국최고의 민속의 향연을 만끽했다.
행사첫날인 28일에는 제1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가 16개 광역시.도의 청소년 대표팀 1,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개막돼 공산농요(대구광역시)를 시작으로 남한산성도척놀이(전남), 웃다리농악(대전), 남원농악(전북) 등 9개팀이 경연을 펼쳤으며, 특히 지난해 최우수상 수상팀인 포천메나리(경기)와 정읍농악(전북)의 시연과 함께 이틀간의 경연에 들어갔으며, 경연장 특설무대에서 진행된 어린이 삼삼쟁쟁 어릿광대 인형극이 관심을 끌었다.
또한 이날 정읍시립정읍사국악단의 기획공연에 이어 타악퍼포먼스 ‘KATA21’ 퓨전실내악 ‘유토(UTO)’, 국악크로스오버 락 ‘고스트윈드’등이 출연하는 국악퓨전무대가 이어졌다.
29일(금) 오후4시30분~5시까지 정읍역광장에서 정읍시립정읍국악단등이 출연하여 고천무와 고천제의식이 거행됐으며 저녁6시경에는 길꼬내기(퍼레이드)를 위해 16개 광역시도 및 이북5도민 대표팀 2,000여명이 각 지역별 참가의상과 도구를 갖추고 참가해 볼거리를 제공했다.
또 30일과 10월1일 펼쳐지는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및 이북 5도에서 선발된 21개 경연팀과 4개 시연팀 1천700여명이 출전해 지역 민속놀이와 민요, 농악, 무용, 민속극 등의 기량을 겨뤘다.
■ 다음은 제1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수상현황.
28일과 29일 전국광역시도 16개대표팀 1,000여명이 참가하여 치열한 경쟁을 펼친 제13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의 최우수상(대통령상)에는 경기도 광주중앙고등학교의 광지원농악이 차지해 우승기와 상금 1,000만원을 획득했다.
또 금상부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상에 인천광역시 인천기계공고 범패와 작법무가, 금상부문 문화관광부장관상에 경상북도 아화중학교의 아화풍물이 선정되어 각각 상장과 상금 500만원씩을 수상했다.
청소년부 개인부문 연기상에는 부산광역시 좌수영어방놀이의 선창을 맡은 김희정(부산동수영중학교 2년)양과 전북 남원농악 상쇄로 나선 성영옥(남원국악예술고 2년)양이 수상했다.
■ 각 부문별 수상팀은 다음과 같다.
은상(전라북도지사상) 2팀에는 부산광역시 부산동수영중학교 좌수영어방놀이와 충남 병천고등학교 웃다리농악, 동상 2개부문중 국립국악원장상에 전남 진도석교중학교 남한산성도척놀이, 국립민속박물관장상에 전북 남원시국악연수원의 남원농악, 장려상(정읍시장상) 3팀에 대구광역시 심인고등학교 공산농요, 대전광역시 대전이문고등학교 웃다리농악, 충북 충북공업고등학교 청주신촌풍장.
또 아리랑상 3개부문으로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장상에 경남 신반정보고등학교 공성오광대놀이와 강원도 영서고등학교 매지농악, 문화원연합회장상에 울산광역시 울산경영정보고 울산학춤과 서울특별시 경기기계공고 노원풍물굿,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상에 광주광역시 대촌중학교 고싸움놀이와 제주도 함덕정보산업고 차사영맞이놀이가 수상했다.
■ 제47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수상내력
▲최우수상 대통령상 [전라북도 고창오거리 당산제 ]
▲우수상 국무총리상 [강원도 ,용평서낭굿농악]
▲금상 문광부장관상 [경상북도,김천광천농악 ,황해도해주본영대동굿
▲은상 전북도지사상 - 부산 고분도리걸립, 서울 수표교다리밟기, 전남 신안뜀뛰기강강술래
▲동상 △KBS사장상 - 평안북도 평안도다리굿, △국립국악원장상 - 인천광역시 서곶들노래 △국립민속박물관장상 - 울산광역시 병영서낭치기
▲장려상(정읍시장상) -함경남도 북청돈돌날이, -제주도 곳바구리물통파는놀이, -경기도 율면정승달구지, -평안남도 평양검무, -함경북도 두만강 뗏목놀이소리
▲아리랑상 △예총회장상 -경상남도 산청메구, - 충청남도 대명리일소리 △문화원연합회장상 - 대전광역시 갑천춘사새시, -충청북도 음성거북놀이
▲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상 - 광주광역시 응암당산굿놀이, -대구광역시 달서이천농악
▲입장상 -서울특별시 수표교다리밟기
▲지도자상 - 전라북도 고창오거리당산제 설태종
▲연기상 - 인천광역시 이순비, - 황해도 김정숙
저작권자 © 정읍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