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서는 만 3세가 되면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으나 아직 우리는 이 나이에 시력검진을 받는 일이 극히 드문 실정이다.
아이가 3~4세가 되면 시력표를 보거나 시력 검진이 가능 하므로 반드시 검진을 받아야한다.
사람의 시기능(視機能)은 6세가 되면 완성된다. 그러나 이 발육기에 안검하수(眼瞼下垂) 부동시(不同視)약시(弱視) 등 눈에 이상이 있을 경우 눈이 제대로 발육이 되지 않는다.
약시란 안경(眼鏡)으로 교정해 주어도 교정시력이 0.3이하인 경우를 약시(藥視)라고 한다.
약시발생은 유전적 요인 등 여러 원인이 있지만 두 눈의 차이가 2 디옵터(Diopter)이상인부동시(不同視)에서도 발생된다.
한창 발육기인 유아기에 눈에 이상이 있으면 눈의 기능장애가 있으며 발육이 안 된다.
특히 부동시(不同視)의 경우 이상이 있는 눈을 쓰지 않게 되므로 발육이 안 되어 약시(弱視)가 되기 쉽다.
그래서 이런 기능장애를 일찍 발견, 교정해주면 정상시력을 되찾을 수 있으나 유아기때 눈 관리의 중요성이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아 시기능이 완성되는 6세 이후에야 발견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시력은 만 6세면 완전히 발육이 끝나므로 이 시기 내에 시력이 발달하지 못하면 평생 동안 발달할 기회가 없어진다.
따라서 6세 이전에 시력(視力)을 검사하여 시력을 조기에 교정해주지 않으면 나중에 안경을 써도 정상시력이 안 나오는 약시(弱視)가 될 수 있어 시력의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저작권자 © 정읍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