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가 관리하고 있는 정읍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국가기념관으로 변경 운영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지난 24일 총리실 산하 동학농민혁명참여자명예회복심의위원회 기념분과위원회(이하 기념분과위/ 위원장 김정기 제주교육대 총장)와 동학 관련 지원업무를 맡고 있는 동학농민혁명참여자등의명예회복심의위원회 사무국(이하 동학사무국)이 정읍동학농민혁명기념관을 방문해 동학 관련 단체 대표와 관계자 등을 상대로 ‘동학농민혁명기념관 확보 추진경과 및 향후계획’ 설명회에 기인하고 있다.
시관계자에 따르면 동학사무국 최훈창 기념과장이 이날 지난 2005년 12월 동학심의위원회의 2차 회의를 통해 용산민족역사공원에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을 신규 건립하기로 의견을 모아 추진해 왔으나 예산 등의 문제로 사실상 신규 건설이 어려워짐에 따라 정읍의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을 국가기념관으로 변경하여 운영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참석자들에게 설명했다는 것.
최 과장은 또 지난 3월15일 동학사무국 기념사업팀장과 전북도 문화관광국장과의 면담을 통해 ‘전북도가 관리 중인 정읍기념관 운영을 국가에 이관하고 싶다’는 전북도의 의견을 받아 들여 이를 수용 검토키로 했다고.
이어 최 과장은 운영 계획과 관련 ▲정읍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동학농민혁명 관련 전국적 대표시설화, ▲자료수집, 연구, 교육, 전시 기능 극대화, ▲국내외 관계 기관.단체 교류.협력, 지원 등 크게 세 가지의 운영 목표를 밝혔다는 것이다.
그리고 운영 주체와 관련해서는 동학재단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동학사무국이 기념관을 운영하며 오는 2010년 동학재단이 발족된 후에는 재단이 국비를 확보해서 운영을 전담토록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정읍기념관의 국가기념관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 예산 확보가 되지 않아 미뤄지고 있는 정읍기념관의 2단계 개발 사업과 기념관 관리와 운영에 따른 예산 확보 등 많은 난제를 선행해야 한다는 것이 이날 참석자들의 공통된 반응이었다고 알려졌다.
또한 기념분과위와 동학사무국의 설명에 대해 일부 동학 관련 단체 대표들이 “그간 사무국 측이 지역단체의 의견을 무시하고 업무협의를 하지 않는 등 절차와 과정을 무시했다”며 “관 주도의 일방적인 정책 변경을 철회하고 민간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단체협의회(이하 동단협)와 동학 관련 정책을 전면 새로 협의하라”고 주장하고 나서 기념관 활용계획 실현이 쉽지만은 않을 것임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에 대한 각 지역 민간 기념재단 관계자와 전국의 많은 단체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정읍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국가기념관 변경’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관련단체와 함께 계속 논의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