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는 “전북도에서 가장 낙후된 서남권을 배제한 체 전주시 인근의 위성도시에 혁신도시 입지를 선정한 것은 전북도의 균형발전과 정부의 분권 및 분산정책에도 맞지 않는 것”이라는 강력한 입장을 밝혔다.
또 혁신도시 선정의 배경과 문제점을 국회와 총리실, 건교부, 균형발전위원회와 전북도, 지역출신 국회의원들에게 경상남도 등의 사례와 함께 혁신도시 최종 입지 선정에 따른 건의안을 제출하고 강원도에 공조를 요청했다.
정읍시는 “정부가 중앙공공기관 1백76개를 배정하면서 광역시와 도를 똑같은 차원에서 균형 분배하여 광역시를 포함해 경남은 제주에 비해 4배, 전북 및 강원의 2.7배가 배치함으로써 낙후지역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배려하지 않았다”며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전북과 강원도 등 낙후지역에는 2개의 혁신도시를 건설되도록 최종 입지 선정 시 재검도해야 할 것”이라고 건의했다.
한편 당초 정부는 “공공기관을 혁신도시로 집단이전하고 지역전략(특화)산업과 연관성이 낮거나, 기능적 유사성이 없는 나머지 기관은 개별이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지난달 31일 진주시에 혁신도시를 지정하고 마산시에 준 혁신도시를 지정, 기능별로 분리 입주키로 했고 강원도에서도 영동과 영서지구로 혁신도시 2개소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정읍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