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방문자수 : 34,561,212명
UPDATED. 2025-07-16 00:56 (수)
“위촉과정 투명성 부족과 설립목적 미부합 우려”
상태바
“위촉과정 투명성 부족과 설립목적 미부합 우려”
  • 정읍시사
  • 승인 2009.03.10 0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기획위원 26명 중 23명이 서울대.연.고대 출신 위촉

정읍 유성엽 국회의원은 대통령이 위촉하는 미래기획위원회에 대해 ”위촉과정의 투명성 부족 등 자칫 우리의 미래전략이 전리품으로 전락하지 않을까 심히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유성엽 의원사무실에 따르면 미래기획위원회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26명의 민간위원 중 23명이 서울대(15명), 연세대(4명), 고려대(4명) 출신으로 밝혀졌다.

또 나머지 3명도 MIT대, 외국어대 2명 등으로 알려져 정부 위촉직의 특정학교 독식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신지별로 분류해 보면 서울.경기 출신 15명, 대구.경북 5명, 부산.경남 2명, 충청권 3명, 제주 1명 등으로 호남권과 강원권 등은 전무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무실측은 주요 위원으로 이명박 정권 초기 국정기획수석비서관 출신으로 위원장이 되면서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던 곽승준 고려대 교수, 재계를 대표해 이웅렬 코오롱그룹 회장이 미래환경.에너지.과학분과 위원이며, 안철수연구소 대표 안철수씨가 미래경제.산업분과 위원, JYP엔터테인먼트 대표 박진영씨가 소프트파워분과 위원으로 각각 위촉됐다고 공개했다.

미래기획위원회는 미래전략.사회통합 분과, 미래외교.안보분과, 미래환경.에너지.과학분과, 미래경제.산업분과, 소프트파워분과 등으로 분류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갈등을 관리, 사회통합을 지향하며 남북평화.공영, 기후변화대응, 신성장산업을 발굴할 목적으로 설립됐다.

유 의원은 이에 대해 “위원장을 포함해 30인 이내의 민간위원과 기획재정부장관, 국정기획수석(간사)으로 구성하며 민간위원은 임기2년으로 업계, 학계 등 ‘각계’ 전문가 중 대통령이 위촉하도록 하고 있으나, 현재 위촉된 내용만으로 놓고 봤을 때는 특정지역 중심의 특정대학 출신, 특정직종 출신(26명 중 20명이 대학 또는 연구소 교수)의 독점적 조직구성 한계는 사회통합 등 위원회 설립목적에 적극 부합할 것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