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운전하고 다니다보면 참 황당한 일들이 목격된다. 다름 아닌 뒤차는 가라고 빵빵거리고 맨 앞에 선 차는 난감한 표정으로 가자니 신호위반이고 안가자니 뒤차는 저리 난리고.. 비보호좌회전이란~
우리 시민들 중 비보호좌회전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열이면 한명이나 제대로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제대로 모르는 아홉 명이 볼 때 빵빵거리며 빨리 가라고 윽박지르는 뒤차가 똑똑한 사람이고 안가고 버티는 앞차는 바보 멍청이로 보여진다.
상식이 실종된 사회 아닌가 싶다. 여기에 비보호좌회전의 의미를 아는 대로 설명해본다
비보호좌회전은 녹색신호시 전방차량에 주의하면서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좌회전을 하라는 뜻이다. 흔히 마주 오는 차만 없으면 비보호좌회전을 해도 되는 것으로 알고, 빨간불일 경우 더 안전할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잘못된 생각이다.
왜냐하면 내가 보고 있는 방향은 빨간불일지라도 반대쪽에서는 녹색불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의를 게을리 하므로 더욱 위험할 수 있는 것이다. 좌회전할 때는 신호도 중요하지만 다른 차량과 보행자의 움직임에 주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만약에 비보호좌회전시 상대방 직진차량과 충돌사고시 주변교통상황이나 충돌지점.진행거리 등에 따라 일정한 과실상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녹색신호가 아닌 때 비보호좌회전을 하면 신호위반으로 단속대상이 된다.
여기에서 문제점을 개인적으로 피력해 본다.
비보호좌회전의 의미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정체를 해소하기 위해서 서있지 말고 갈 수 있게 해주는 대신 사고 나면 당신이 다 책임지라는 것이다. 따라서 신호등에 비보호라고 쓰여 있는 곳에서만 비보호좌회전 적용구간이 되며 적용 구간이라 해서 큰 혜택이 있는 것은 아니다.
신호위반 스티커만 안 끊는다 뿐이지 사고 나면 예전보다 불이익이 많아졌다고 생각하면 된다. 쌍방과실부분에서 자기 과실이 더 많아졌다고 할 수 있다. 즉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는 신호란 것을 인식하고 사고 없는 안전한 운행이 되기를 기원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