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한 식수원 확보를 위한 정읍시민 대책위원회(이하 시민단체)'가 지난 9월 26일 정읍시청에서 회견을 열고 “정읍시민의 식수원 옥정호에 녹조가 창궐하고 있다. 눈으로 보고도 믿기지 않을 만큼 충격적이다. 이제 정읍시민은 녹조 범벅 수돗물을 마시는 것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당국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시민단체는 “현재 옥정호 운암대교 주변에서 발생한 녹조가 운암취수구(운암수갱)을 넘어 산내쪽으로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산성정수장은 상시급수체계(운암취수구)에서 비상급수체계(칠보발전취수구 물을 비상취수관으로 직접 정수장으로 공급)로 21일 오후에 긴급 변경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급수체계를 칠보발전 취수구로 변경했다고 녹조로부터 안심할 수 있을까?”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22일 산내 칠보발전소 취수탑(칠보발전수갱) 앞쪽으로도 녹조로 오염된 물이 흐르고 있었고 그날 오후 산성정수장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상태는 냄새와 색깔만으로도 녹조물이었다. 운암 취수구와 칠보발전 취수구의 거리로 볼 때 창궐한 녹조는 며칠 내로 산내 지역의 옥정호 물도 녹조로 뒤덮이게 되어 정읍시민은 이 물을 먹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시민단체는 “그런데 불행히도 정읍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산성정수장은 녹조 독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도처리정수장이 아니다. 약품으로 악취는 제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독성물질은 산성정수장 처리능력으로 해결이 불가능하며 정읍시민은 독성물질이 있는 수돗물을 그대로 마실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심각성을 전했다.
상황이 이렇게 심각한데도 불구하고 “환경부와 전라북도 그리고 정읍시, 임실군은 물론이고 국민의 대표인 지역 국회의원 누구 하나 정읍시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지 않다”고 일침을 날렸다.
이어 시민단체는 “녹조에 대한 시민들의 경고는 이미 여름부터 있었다. 낙동강, 금강의 녹조 문제가 연일 보도되면서 전주KBS방송국이 8월 22일 뉴스에서 "옥정호 녹조 비상"이라는 영상으로 녹조의 심각성을 알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방송의 경고와 많은 시민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라북도와 정읍시와 임실군은 적극적인 조처를 취하지 않았고 오히려 임실군은 출렁다리와 도로 개설, 숙박단지 공사 등을 진행하여 사태를 악화시켰다”고 주장했다.
2015년 임실군의 요청으로 상수원보호구역이 전면 조정된 뒤 임실군은 옥정호를 관광지로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들을 진행하면서 정읍시와 임실군과 김제시 일부 지역 식수원인 옥정호의 수질 대책은 없었다고 꼬집었다.
여기에 “전북도 또한 광역상수원을 관리는 뒷전으로 옥정호 개발을 전라북도 대표 관광지로 선정, 총력 지원해 옥정호의 수질은 나빠지는 데 일조했다. 이번 옥정호 녹조 창궐사태는 예견된 재앙이었다”고 정조준했다.
이러면서 “임실군 심민 군수는 옥정호에 녹조가 발생해 대발생의 위험경고에도 불구하고 7월 19일 전주 KBS 인터뷰에 나와 옥정호는 1급수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옥정호 출렁다리 등 개발을 위해 애써 옥정호 녹조 발생을 감추고 대응은 하지 않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 “정읍시 또한 이런 긴급한 녹조 독성물질 위험 앞에 놓여 있는 시민 식수 안전을 위해 식수원대책위가 시장 면담을 요청하자 담당자는 70여 개의 면담이 예약되어 있어 일정을 잡기 어렵다는 성의없는 태도를 보여줬다”고 쓴소리를 냈다.
이와 함께 “현 지역구 국회의원의 녹조에 대한 문제 파악 능력과 대처는 한심한 수준”이라면서 윤준병 의원의 SNS 게재 글과 관련 “법률 검토해 사법당국에 고발할 것”이라고 공개 선언하기도.
시민단체는 다른 한편 광역상수원인 용담호에 대해서는 “23일 정읍식수원대책위가 확인한 용담호는 녹조는 보이지 않고 보이는 것은 청정한 자체였다. 옥정호와 같은 가뭄, 기온, 일조량 등 같은 자연조건에서 용담호는 청정했다”면서 “이는 이번 옥정호 녹조창궐사태가 기후 아닌 인간의 탐욕, 개발의 몸살이라는 증거”라고 제시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는 “정읍시장은 즉각 임실군수를 만나 옥정호 개발 중단을 요구하고 대책을 마련하라”면서 녹조에 대한 안전대책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급수체계를 칠보발전취수구로 전환한 이상 추령천 등 산내면 수질관리는 식수에 바로 직결됨에 따라 정읍시 옥정호수역 내 개발(캠핑장)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임실군수는 상생협력선언서 약속을 저버리고 수질을 악화시킨 것에 정읍시민에게 사과하라”면서 “임실군은 현재 진행중인 개발을 녹조 소강 시까지 즉각 중단하고 옥정호로 유입되는 부영양화 원인들에 대한 대책을 즉각 세워야 하며 수변의 요식업소 등의 배출시설을 점검해야 한다. 옥정호로 유입되는 수역에 습지 등 수질 개선대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도높게 주문했다.
전북도와 도지사도 녹조 확산을 막기 위한 가능한 모든 조치를 즉각 실행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옥정호의 관리처는 수자원공사(상수원/섬진강지사, 정수장/정읍지사)가 맡고 있으며 정읍시는 이번 녹조의 주원인이 기온상승과 수위 저하 23.6%(예년 40.6%) (강수량: 예년 1,144mm, 현재 777mm/ 9월 21일) 및 상류에서의 영양물질 영향(비료·축산 등 유입)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녹조 심각시 대응 태세 확립(수자원공사)하고 조류제거차량 운영(스컵제거, 수류분사), 폭기장치 설치(취수구 부근), 조류차단막 설치(운암방류구, 칠보발전 방류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전북도 TF팀 운영에 따라 관련 기관과 업무체계 강화 및 신속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관계자는 “향후 기온이 내려가고 저수량이 많아지면 옥정호 녹조현상도 해결될 것으로 보이며 원활한 식수원 공급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