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직장인들은 많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만성질환 중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이다.
근무 중 커피를 너무 많이 마시거나 외식 등 모임에서 과식과 음주, 흡연 등을 하다 보면 위와 식도, 목에 염증이 생기게 된다. 염증이 만성화되면 가슴이 타는 느낌, 통증,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생겨 삶의 질까지 떨어지게 된다.
몸속 염증은 처음에는 큰 문제가 아닌 것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방치하면 만성화돼 치료가 힘들어지고 증상은 더욱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직장인의 대표적인 염증이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위염은 위 점막에 염증 세포의 침윤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위염은 명치 부위에 조이는 듯한 통증이 비교적 짧은 주기로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심하면 속이 메스껍고 구토를 하게 되며 위점막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위염이 지속되면서 만성화되면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부터 소화불량과 같은 상복부 통증, 식후 명치 부위의 그득함, 복부 팽만, 식사 중 조기 포만감, 구역, 속쓰림 등의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위염은 심한 스트레스, 과식, 과음, 금식을 빨리 먹거나 매운 음식을 즐기는 식습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나 세균, 기생충 감염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그 외 아스피린, 소염진통제 복용도 원인이 될 수 있다.
Q) 위염이 진행되면 위암이 되나요?
A) 위암과 위염은 전혀 다른 병입니다. 따라서, 위염이 진행되어서 위암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위염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위 표면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이며, 단기간의 약물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이 됩니다. 위암은 종양세포의 증식에 의해서 발생하며, 반드시 내시경적 시술이나 수술적인 방법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Q) 위내시경 검사가 겁나는데 위장 조영촬영으로 사소한 병명까지 발견할 수 있나요?
A) 위장 조영촬영은 위내시경 검사보다 수월하지만, 미세한 병변의 발견율이 떨어집니다. 또한 금식 등의 검사 전 준비가 철저하지 못하다면 음식 찌꺼기 같은 것은 병변으로 오인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위내시경으로 검사를 권합니다.
Q) 위장에 헬리코박터균이 있으면 꼭 치료해야 하나요?
A) 위장에 헬리코박터균이 있는 모든 사람이 치료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소화성 궤양환자, 변연부 B세포 림프종, 조기위암 환자가 헬리코박터균 감염이 있다면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그리고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축성 위염, 장기간의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복용해야 하는 환자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사람이 섭취한 음식물은 식도를 지나 위로 내려가는데 이때 위에서 식도로 다시 올라오지 않도록 막아주는 괄약근이 있다.
이 괄약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위에 있는 물질들이 식도로 역류하고 식도 점막을 자극해 통증이나 불쾌감을 일으키며 심하면 염증까지 발생시키는데 이를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부른다.
역류성 식도염이 심해지면 궤양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드물게 식도 협착이 관찰되기도 한다. 식도가 더 손상될 경우 바렛식도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역류성 식도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가슴뼈 뒤쪽이 타는 것 같은 느낌과 호전, 악화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삼킬 때 삼킴 곤란이나 흉부에 음식이 걸려 있는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구토, 구역 등 증상이 나타나거나 인두와 폐 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만성기침, 기관지 천식은 물론 충치와 잇몸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