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 성황산에 자리한 고부구읍성(전라북도기념물 제53호) 우리의 염원이 8년여 만에 이제 초축(初築)의 이름을 되찾고 국가사적지란 기쁜 소식이 전해왔다.
성황산 표고 132m의 서쪽 봉우리와 126m의 서쪽 봉우리가 솟아 동서로 지맥이 흐르고 둘레가 1066m. 동서 직선거리 420m. 남북이220m이다.
문헌과 발굴조사결과 성문 3개소, 4개의 우물, 16 건물지. 1개소의 단(壇),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36년 8월조>에 고사부리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사비(泗比)시대(538-660)5방 37군 200성으로 지방통치의 중심지로 백제 5방성중의 하나인 중방 고사성-고부(동방-은진 남방-광주. 서방-대흥. 북방- 공주)로 지방행정구역임을 말해 준다.
지금까지 읍성의 초축(初築)이 고려 현종 10년 (1105년) 입석리에서 읍치(邑治)를 옮긴 그 무렵이라 했고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정읍군사(1985)는 단정하기도 했다.
그리고 고사부리성의 위치를 학자에 따라 ‘두승산성’, ‘은선리토성’, ‘고부구읍성’등으로 추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2차 3차 발굴조사 결과 고부구읍성이 고사부리성임이 확인되고 지도위원회에서 백제 고사부리성임을 학자들의 의견이 일치되었다.
일반적으로 토성이 석성으로 개축했으나 고사부리성은 석성이 훗날 폐허화 되어 토성으로 변한 모습이라고 말한다.
백제시대 초축했던 성벽은 조각품처럼 섬새하고 아름답다. 고창 모양성이나 다른 성에서 보기 어려운 석성이 햇빛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 이후 개축 보수된 곳은 그렇지 못해 발굴조사 연구관에 문의한 결과 5방체제(大城)시의 비중이 큰 전국의 거점으로 조성 하였으나 점차 비중이 낮아 투자성이 적다는 이야기였다.
종합성과를 말하면 2차발굴 조사에서 ‘상부상항’(上部上巷) 이라는 인각와(印刻瓦)출토 기마병의 선각와편(線刻瓦片) 통일신라시대의 ‘본피관’(本彼官) 명문와 등 많은 자료가 출토되었다.
공주대 이남석 교수는 백제유적이 흔하지 않은데 많은 자료가 출토 되어 반갑고 공주보다 나은 유물이 있다고 설명하며 이조권(李朝圈)은 파괴 되더라도 백제권을 심도 있게 발굴 했으면 좋겠다고 말해 주었다.
객사지 발굴 와편에서 ‘色吏 殷夏衡’ 와문(瓦文)이 발견(1723-1735추정), 객사 개축당시 희사문화(喜捨文化)와 집성촌임을 말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이 마한(馬韓)시대에는 54개국 중 고비리국(古卑離國)이었던 고부에서 백제지방통치의 중심지 중방성으로, 고사부리군이 고부군으로, 일제 강압기인 1914. 3. 1 행정구역을 개편 동학혁명의 발생지이기에 민심 직결을 분산시키기 위해 3개군에 분할 면으로 비하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읍시 중.장기발전계획을 보면 고부 관아터 복원계획과 구읍성복원 계획이 수립되어 있다.
이제 국가사적지로 지정되어 역사적 학술적으로 높이 평가되어 고부동학혁명 발상지란 역사와 함께 역사 체험학습장으로 그리고 사계절관광 자원으로 복원계획을 추진, 백제 5방성 중 중방성인 고사부리성을 보이고 싶다.
조사 경과
지표조사 ; 1986.전주시립박물관 .조사단장 전영래 정읍지방문화재 지표조사보고서(정읍군)
지표조사 ; 2000. 원광대박물관 문지3, 우물4, 건물지14,등 확인
학술대회 ; 2000.10.21.-22. ‘고부문화권의 재인식’. 논문집 발간 (정읍시)
발굴조사 ; 2002. 정면5간 칙면4간의 민락정 확인
시굴조사 ; 2003. 건물지 관련 유지 전북문화재연구원
1차발굴조사 ; 2004.조선시대건물지 12동.조선시대 기와 출토 이하 전북문화재연구원
2차발굴조사 ; 2005.객사지, 백제시대 북문지조사.초축 성벽조사. ‘上部上巷’ 기와 출토
2차발굴조사 현장설명회 및 지도위원회 국가사적지 희망
3차발굴조사 ; 2006.3.-11월 북서 성벽. 추정수구지. 집수정. 8. 17. 1차 지도위원회의
10. 30. 2차지도위원회의 추정수구지. 건물지등 조사. 백제5방성 중방성 확정
시에 국가사적지 신청요망
2006. 9. 15. 발굴현장 지역주민.기관 현장설명회. 연구원 주관
학생백일장 및 사생대회 고부문화권보존사업회 주관
2006. 12. 고부구읍성 종합정비기본계획 (길)건축사무소 용역 보고서 발행
2007. 4.. 20. 문화재청에 국가 사적지 신청
2007. 12. .6. 문화재전문위원 5명 현지 답사.
2007.12.31.- 2008. 1. 31. 국가 사적지 지정에따른 공고기간
6개월내 ; 심사위원회의 문화재청 확정공고
2008. 5. 28. * 사적 제494호 문화재청발표
* 명칭 ; 정읍 고사부리성
* 지정면적 ; 92.127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