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방문자수 : 34,558,307명
UPDATED. 2025-07-16 00:56 (수)
인터뷰
상태바
인터뷰
  • 변재윤기자
  • 승인 2009.01.06 0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가족 산외에서 고기먹는 집(우․산․집)

김칠성. 김미경 대표

 

“품질! 맛! 가격! 모두 만족하실 겁니다. 한번 오시면 절대 잊지 않으실 겁니다”

이름이 길어 약자로 표기되는 <우산집> 대표 김칠성 대표(43). 늘 미소를 잃지 않는 김 대표는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혀 뜻밖의 전략을 내놓았다.

김 대표는 현재 산외 한우먹거리 타운에 대해 다양한 청사진을 제시하며 정읍의 성장 동력에 대해 거침없고 자신에 찬 마인드를 펼쳐보였다.

그는 대다수 많은 관광객들이 산외 한우마을을 찾으면서 널따란 초지위의 한우를 연상하고 온다는 점에 안타까워했다. 그래서 위정자들에게 이제 산외 트렌드는 전문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며 특수한 볼거리와 위락시설의 확충을 꼽았다.

그래서 그 때문에 현재 자신의 식당에 숯불 가마를 구상했고 이것이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앞 주차장 공간에는 늦은 시각에도 여흥을 보내며 휴식하는 노래방도 건립 예정에 있다.

딱히 부족한 시골여건에 도시 탐방객들의 취향에 맞출 수 있는 시설이 있다면 체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계산인 것이다.

본래 전남 화순이 고향이었고 서울에서 오랜 기간 동안 직장생활도 했던 그가 정읍과 인연을 맺은 것은 한우타운이 조성되기 직전인 5여 년 전 일이었다.

김제시에 소재한 학성강당에 3자녀들을 주말 한학공부를 시키면서 발단됐다. 5년 전까지만 해도 학성강당은 식당 바로 옆의 산외교회와 함께 붙어 있는 주택으로 막연히 공기 좋은 곳에서 살고자 현 식당 부지를 매입하게 된 것.

그가 토지를 서당 측으로부터 매입 한 이듬해 산외 한우마을이 터지기 시작했고 그 또한 이 사업에 관심을 가져 오늘에 이르렀다는 사연을 듣고서야 그의 순수성을 받아들이게 됐다.

김 대표는 “전국 브랜드로 확산되어 먹거리 타운의 정읍 산외가 부각되고 있는 것은 정읍시민에게는 큰 자원”이라며 “불이 붙어 몰려오고 있는 관광객들을 더욱 유치하고 전국 명소로 거듭나게 하려면 산외에 대해 정읍시나 정치인들이 사업의 집중을 이룬다면 돈을 벌기위해 타지 사람들이 몰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평일에도 몰려드는 손님들을 볼 때 이곳 정읍 산외는 시골마을이 아닌 떠오르는 관광지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며 “이러한 자원을 최대한 살려나가는 것이 정읍이 잘 살 수 있는 기회”라고 덧붙였다.

더불어 김칠성씨와 부인 김미경씨와의 사이에는 정읍여고 1학년에 재학 중인 도연 양과 산외중 1년 성한, 산외초 5학년 형균이도 이젠 이곳 생활에 잘 적응하는 모습이어서 정읍 산외면이 찾아오는 농촌도시의 전형이 되지 않을까 가슴이 벅차올랐다.

자신의 인연을 소중히 받아들여 사업으로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김 대표의 자신에 찬 포부를 듣는 시간 내내 점심시간이 한참 지나고서도 사람들의 발길은 줄을 잇고 있어, 연간 50만명의 관광객에 매출액 600억원, 연간 도축 한우수 1만여 마리의 정읍 산외의 부가가치가 더욱 실감 있게 다가왔다.

 


주요기사
이슈포토